삼층석탑 이미지
삼층석탑 썸네일 이미지
삼층석탑 三層石塔
시도유형문화유산
시대
통일신라
크기
높이 690㎝
재질
석조
봉안처
경내

본문

해인사 삼층석탑은 대적광전 아래 넓은 마당 한가운데 자리 하고 있다. 그래서 삼층석탑의 경우 '마당 중심에 있는 탑'이라는 뜻의 정중탑庭中塔이라고도 불린다.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다른 신라 석탑은 보통 기단부가 2단인 것에 반해 이 석탑은 3단 인 것이 특징이다.

 조성시기는 일제강점기인 1926년 삼층석탑을 수리할 당시, 시주자였던 장길상이 남긴 기록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 내가 을축년 겨울 해인사에 갔을 때 본 5층 대탑은 퇴락해 있었다. 아마도 절이 신라대에 창건되었으니 탑도 필시 같은 시기 일 것이다. ...... 그리고 탑 안에 처음 건축 될 때 쓰인 돌과, 함函안에 봉안된 불상 9존尊을 보았다. 또 함 내면에 쓰인 글씨를 보고 이 탑은 건축된 지 687년 뒤 우리 성종 19년(무신 1488) 왕대비 전하께서 특별히 미포(쌀과 천)을 하사해 개축한 일이 있음을 알았다. 그러니 이 일은 지금으로부터 483년 전이며, 나의 오늘 거동도 우연이 아님을 알겠다.'

 이를통해 1488년 석탑 중수 당시 탑 안에 사리함과 불상을 봉안하였고, 함에는 삼층석탑의 건립 연대와 중수 내력을 적은 명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탑의 특징 및 수리와 관련한 기록으로 보아 해인사 삼층석탑은 802년 해인사 창건을 전후하여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